좋은글들

茶神傳 3( 辨 茶)

靑波 2005. 8. 31. 07:27

3] 辨 茶(변 다)                  차의 분별

 

 

다지묘  재호시조지정(茶之妙. 在乎始造之精).

 

          :차의 묘방이란  첫 덖음을 정결하게,

 

장지득법 포지득의(藏之得法 之得宜)

 

          :간직할때 적법하게, 달이기의 適宜(적의)

           함에 있으나,

 

우렬정호시과(優劣定乎始鍋).  

             

           :우열은 첫 솥에서 결정된다.

 

청 탁 계 호 말 화(淸濁係乎末火).  

              

           :청탁은 끝 불에 관계하는데,

 

화렬향청  과한신권(火烈香淸. 鍋寒神倦).

 

           :불이세면 향이맑고,솥이차면 신묘함이 더디다

 

화맹생초(火猛生焦). 

                         

           :불이 맹렬하면 설익고 타며,

 

(분별). 藏(간직). 泡(거품→ 달임). 始鍋(첫 솥, 첫 덖음). 倦(게으르다). (사납다). 焦(볶다). 柴(섶).

疏(성기다, 늦다)

 

 

시소실취 (柴疏失翠).  

                       

           :섶나무 더디 타듯 하면 비취빛을 잃고,

 

 구 연 즉 과 숙(久延則過熟). 

                  

           :오래 지연되면 過熟(과숙) 하고,

 

 조 기 각 환 생(早起却還生).  

                

           :일찍 꺼내면 설익어 되살아난다.

 

숙즉범황 생즉착흑(熟則犯黃. 生則著黑).

 

           :과숙 하면 황변 하고, 설면 검게 착색된다.

 

순나즉감 역나즉삽(順那則甘. 逆那則澁). 

 

           :순조로우면 달고, 거스르면 떫다.

 

대백점자무방(帶白點者無妨).

               

           :흰 점이 둘린 것은 무방하며,

 

절초점자최승(絶焦點者最勝).

              

           :볶아진 점을 막아야 가장 좋다.

 

 

(거스르다). 澁(떫다). 妨(방해하다).

 

 

 

 

 

 

'좋은글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茶神傳 1(採 茶)  (0) 2005.08.31
茶神傳 2(造 茶)  (0) 2005.08.31
바위 같은 이름의 아버지  (0) 2005.08.31
인디언들의 일곱가지 기도문  (0) 2005.08.20
마음을 일깨우는 명상의 글  (0) 2005.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