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글들

茶神傳 1(採 茶)

靑波 2005. 8. 31. 07:31

茶 神 傳     다  신  전

 

                    艸衣 張意恂          초의 장의순

 

 ★초출만보전서(抄出萬寶全書):만보전서에서 가려냄②

 

1]採 茶(채 다)                  [차 따기]

 

 

채 다 지 후(採茶之候),

           

          :차 따기를 살피건 데,

 

 귀 급 기 시(貴及其時).  

 

           :귀중한 것은 그 시기에 좇음이다.

 

 태 조 즉 미 부 전(太早則味不全),   

 

             :너무 빠르면 맛이 온전치 않고,

 

 지 즉 신 산(遲則神散).                    

 

             :늦으면 신기로움이 흩어진다.

 

 이 곡 우 전 오 일 위 상(以穀雨前五日爲上),        

 

             :곡우 전 오일을 으뜸으로 삼고,

 

 후 오 일 차 지(後五日次之),               

 

             :곡우 뒤 5일이 다음,

 

 재 오 일 우 차 지(再五日又次之).           

 

             :다시 오일이 또한 다음이다.

 

 다 아 자 자 위 상(茶芽紫者爲上),           

 

             :차 움은 자주 빛깔이 으뜸이고,

 

 

(더디다). 穀(곡식). 皺(주름). 穀雨(二十四 節候의 하나, 4月 20日 경).

 

 

면 추 자 차 지(面皺者次之),                  

 

            :葉面이 주름진 것이 버금,

 

단 엽 우 차 지(團葉又次之).                 

 

              :둥근 잎③이 또한 다음이다.

 

 광 면 여 소 엽 자 최 하(光面如篠葉者最下).  

 

             :조리댓잎④ 같이 광택 나는것이 가장낮다.

 

 

철 야 무 운(撤夜無雲),                      

 

              :밤새 구름이 없고,

 

 읍 로 채 자 위 상(露採者爲上).              

 

              :이슬 흠뻑 젖었을 때 딴 것이 으뜸.

 

 일 중 채 자 차 지(日中採者次之).             

 

              :해가 비칠 때 딴 것이 버금이다.

 

 음 우 중 불 의 채(陰雨中不宜採).             

 

              :흐리고 비올 때 따면 마땅치 않다.

 

 산 곡 중 자 위 상(産谷中者爲上),              

 

              :산골에서 나는 것이 으뜸이고,  

 

 죽 하 자 차 지(竹下者次之),                   

 

              :대나무 밑엣 것이 버금이며,

 

 란 석 중 자 우 차 지(爛石中者又次之),         

 

              :문드러진 돌엣 것이 또한 다음이며,

 

 황 사 중 자 우 차 지(黃砂中者又次之).          

 

              :붉은 모래흙엣 것이 또한 다음이다.

 

 

團葉(둥근 잎). 篠(조리 대 꼭지 잎이 펴지기 전의 말

린 잎). 撤夜(徹夜, 밤 새).  

 

(이슬에 흠뻑 젖음). 爛石(문드러진 돌, 風化石). 黃

砂(누른 빛의 모래).

 

① 抄出萬寶全書; 만보전서에서 뽑아 내다, 1595년

무렵 明 張源이 지은 "茶錄"이 1611-1617년 무렵에

出刊된 "敬堂增訂萬寶全書 "卷之十四 "採茶論"에 실리

고 다시 1830년에 "茶神傳"으로 정초됨.

 

② 採茶論; 註① 參考

 

③ 團葉; 찻잎이 둥글게 말린 잎은 대체로 차잎말이

나방의 애 벌래 피해를 입은 것이다. 그러므로 자줏빛

움이 으뜸, 葉面이 주름진 草綠움이 다음가는 움인데

아직    꼭지 잎이 둥근 것을 말한다.

 

④ 篠葉; 차나무 잎은 한가지(新枝)에 8-12잎이 나

는데 마지막 꼭지 잎이 펴지면 그 전까지 펴진 잎은

조릿대 잎처럼 光澤이 난다.

 

        이때는 차 움에 아미노산 (특히 '茶神'으로 불

리는 '데아닌')의 含量이 急激히 減少하며, 햇빛이 강

하고 溫度가 높으면 쓰고 떫은맛이 나는 '카테친' 含

量이 增加 하므로 감칠맛이 흐트러진다.

 

                                                                       온 온 뜸 차    (全醱酵茶→ 紅茶)를 따는 시기이다.

 

 

 

 

 

'좋은글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꿈 꾸는 그곳  (0) 2005.09.02
茶神傳  (0) 2005.08.31
茶神傳 2(造 茶)  (0) 2005.08.31
茶神傳 3( 辨 茶)  (0) 2005.08.31
바위 같은 이름의 아버지  (0) 2005.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