茶 神 傳
原名 "茶錄" 明. 張 源 作
近朝鮮 末까지에 걸쳐서 우리 나라의 三大茶書를 든다면 茶賦, 茶神傳, 東茶頌 일것이다.
500년 전 (1495년 무렵)의 茶賦는 茶에 대한 순수한 禮讚書(예찬서)이며,
茶生活을 통해서수신 求道(구도) 하는 朝鮮時代 선비의 散文詩이다.
반면 茶神傳은 덩이차가 잎차로 바뀐이래의 茶經에 比肩(비견)되는 茶의 교과서이며,
東茶頌은 우리 나라 茶에 대한 고체 '頌詩'시다.
茶를 공부하는 이라면 많은 茶書를 많이 탐독할수록 좋겠지만 불가피할 경우라 할지라도
이 茶神傳 만큼은 숙지해야 할 茶事의 표준서이다.
茶神傳의 原本은 "敬堂萬寶全書 採茶論(경당만보전서 채다론)"이고 채다론의 원본은 "茶錄(다록)"이다.
이들 年代를 정리해보면 1595년 무렵에 明의 張源이 지은 "茶錄"을 1615년 무렵에 "만보전서"에 "채다론"으로 실었고, 235년 뒤인 1830년에 다시 "茶神傳"으로 抄錄(초록) 改名하였을 것이다.
오늘날 우리가 閱覽(열람)할 수 있는 原文으로는 "다록"이 "만보전서로" 轉載(전재) 되면서 유수한 誤植(오식)을 남겼고, 다시 茶神傳으로 초록되면서 상당한 차이를 남겼음을 알수있다.
茶神傳의 跋文에 拔抄(발초) 과정이 상세함으로 미루어 그때 만보전서 原文 狀況을 짐작할 만 하다.
茶神傳은 23항목의 茶事를 다루었는데, "만보전서 채다론"으로 옮겨지면서 22번째 항목인 '分茶盒(분다합)'이 缺載(결재)되었고, 끝항목인 '茶道'가 22항목에 '茶衛(다위)'로 章 제목만 바뀌었다.
실상 그 '茶道' 항목은
◇만들 때 '精'하고,
◇간직할 때 '燥'하며,
◇달일 때 '潔'하면,
'茶道'(道;上聲→ 방법)를 다했다는 內容으로 全文이 「造時精 藏時燥 泡時潔 茶道盡矣」이다.
즉 찻일 22항목의 要約한 方法과, 22항목을 要約한 말(道, 去聲→ 말)을 다 했다는 內容이기도 하다.
先人들은 '道'자를 신중하게 다루었다.
우리 언어전통에 걸맞지 않은 日本語를 濾過(여과)없이 남용하는 것은 문화인 으로서 삼갈일이다.
茶事 23과정에 能熟치 못한 나로서는 茶錄과 茶神傳의 두 原文중에 茶錄을 準據(준거)하여 註說할 수 밖에 없는 苦衷(고충)을 告白하며,
이 경우가 어쩌면 艸衣스님이 茶神傳을 초록한 본의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도 하게된다.
先 後進 茶友의 叱正(질정)을 바랄 뿐이다.
'좋은글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을 보는 아홉가지 지혜 - 공자 (0) | 2005.09.15 |
---|---|
내가 꿈 꾸는 그곳 (0) | 2005.09.02 |
茶神傳 1(採 茶) (0) | 2005.08.31 |
茶神傳 2(造 茶) (0) | 2005.08.31 |
茶神傳 3( 辨 茶) (0) | 2005.08.31 |